영화 <기생충, Parasite>은 2019년 개봉한 한국영화로 제92회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국제영화상과 최우수작품상, 감독상, 각본상까지 4관왕을 휩쓸었다. 코미디라는 장르에서 시작해서 서스펜스로 끝나는 봉준호 감독의 독특한 세계관을 엿볼 수 있으며 신분의 격차와 자본주의에 대한 내용을 비유적으로 다루고 있다. 더 자세히 간략한 줄거리, 명대사, 해석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줄거리
영화는 서울의 비좁은 반지하 아파트에 살면서 먹고살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김 씨 가족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가족은 실직한 아버지 기택(송강호), 해머 던지기를 하던 어머니 충숙(장혜진), 미술대학 준비생이었지만 현재는 백수 상태인 딸 기정(박소담), 대학입시 4 수인 아들 기우(최우식)로 구성되어 있다. 두 자녀 모두 성공에 대한 갈증이 있지만 현실은 밑바닥 인생이다. 기우가 세계적인 IT기업 CEO인 박동익 사장(이선균)의 부유한 딸의 과외 일자리를 제안받으면서 이야기는 구체적으로 시작된다. 기정이의 도움으로 위조 학위를 만들어 과외 교사가 된 기우는 막내아들 다송(정현준)을 위한 미술치료사의 일자리가 있다는 것을 깨닫고 기정이를 미술교사로 채용하도록 만든다. 그리고 박사장의 운전사를 내쫓아 그 자리를 아버지 기택이 담당하도록 하고 복숭아 털 알레르기가 있는 가사도우미 문광(이정은)에게 고의적으로 아픈 사람인 것처럼 꾸며 그 자리를 자신들의 어머니 충숙이 할 수 있도록 만들며 본격적인 사기극이 펼쳐진다. 김 씨 가족이 일하기 시작하면서 그들은 서서히 부자들의 삶에 침투하기 시작하고 가족에게 없어서는 안 될 존재가 된다. 김 씨 가족의 계획을 모르는 박 씨 부부는 이들을 칭찬하며 전혀 의심하지 못한다. 다송의 생일 맞아 온 가족이 캠핑을 떠난 그날 밤 김 씨 가족에게 쫓겨난 전 가사도우미 문광이 집 안에 두고 온 것이 있다며 문을 열어 달라고 한다. 문광은 지하실로 내려가고 그곳에는 큰 지하공간이 숨겨져 있고 가사도우미 문광의 남편인 오근세(박명훈)가 있었다. 이 모습을 보러 내려오던 김 씨 가족이 계단에서 굴러 떨어지며 문광에게 모두 가족이었다는 것이 들통나고 이것을 영상으로 찍어 이들을 협박한다. 이때 전화벨이 울리고 박 씨 가족이 잠시 뒤 집으로 돌아온다는 소식에 이들은 허겁지겁 치우고 숨기에 바쁘다. 폭우가 내리고 기택의 반지하 집은 물에 잠기고 만다. 수재민이 된 가족들은 체육관에서 생활해야 하는 신세가 되는데 박사장의 아내인 연교(조여정)는 비가 와서 공기가 깨끗해졌다며 아들 다송이의 생일파티를 준비한다. 지하 계단에서 떨어진 문광은 뇌진탕으로 죽고 남편 근세는 수석으로 기우의 머리를 내리치고 밖으로 나와 다송의 케이크를 들고 있는 기정을 칼로 찔러 죽인다. 이를 보게 된 충숙은 근세에게 달려들어 죽이고 박 사장은 근세의 몸 밑에 깔린 차 열쇠를 주우려다 몸에서 나는 냄새에 얼굴을 찌푸리게 되고 이 모습을 본 기택은 평소 자신에게 냄새가 난다고 무시하고 모욕했던 일을 떠올리며 박 사장을 칼로 찔러 죽인다. 그리고 기택이 숨은 곳은 죽은 근세가 살고 있던 지하실이었다. 다혜 덕분에 살아난 기우는 돈을 벌어 그 저택을 사겠다는 허황되고 말도 안 되는 생각을 하지만 여전히 반지하에 살고 있는 그에게는 상상일 뿐이다.
명대사
첫 번째 명대사는 제일 유명한 "아들아 너는 계획이 다 있구나"이다. 기생충 포스터에서도 기우는 손에 수석을 들고 있다. 친구로부터 수석을 받은 기우와 좋은 기운을 가져올 거라고 믿는 이들에게 돈을 벌 수 있는 기회가 기우를 통해 주어진다. 상류층 과외를 소개받았지만 학벌이 없었던 기우가 위조 학위를 만들어 집을 나가는 장면에서 기우의 아버지 기택은 이 유명한 대사를 한다. 여기에는 많은 해석과 내용이 담겨 있는데 바로 수석이다. 수석이 들어온 후부터 집이 풍족해지기 시작했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비가 내려 집이 침수되는 상황에서도 기우는 수석부터 찾는 모습을 보이며 그것은 곧 의미 없는 것에 집착하는 없는 자들의 삶을 반영한다. 두 번째 명대사는 기택이 말한 "가장 완벽한 계획이 뭔지 알아? 무계획이야"이다. 부자들의 기준을 맞추며 살아야 하는 계급사회의 제일 아래 계층을 잘 반영한 인물로 빠르게 변하는 극 중 없는 자들의 계획은 계획대로 되지 않음을 설명하며 자신의 상황을 잘 표현한 말이다. 이 말에는 숙주 없이는 살 수 없는 기생충 같은 인생을 내포하고 있다. 세 번째 명대사는 "부자인데 착한 게 아니라 부자라서 착한 거야"라고 말하는 기우의 엄마 충숙의 말이다. 어려움 없이 살아온 사람들은 사람을 잘 믿고 밝은 성격을 가진 것이라는 것을 비꼬는 말투로 풍자하며 영화에서는 부자는 선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단편으로 영화 속의 사모님으로 나오는 연교는 사람을 잘 믿고 두 자녀들 모두 구김살 없이 자란 모습으로 비춰진다.
해석
이 영화는 계급 불평등, 사회적 이동성, 부의 부패한 영향력에 대한 주제를 보여준다. 부유한 엘리트들에 대한 풍자적이고 어두운 코미디적인 비판을 제시하며 그들이 가난하게 사는 사람들의 투쟁에 대해 무관심한 것으로 묘사한다. 봉준호 감독은 기택의 집과 박사장의 집, 그리고 지하공간을 카메라 앵글과 조명을 전문적으로 활용해 담으며 영화 전반에 긴장감과 서스펜스를 자아내며 충격적이고 잊을 수 없는 클라이맥스를 담는다. 자본주의로 발생할 수밖에 없는 계급사회를 꼬집으며 부유한 자들이 돈으로 자신들의 문제들을 해결하고 그 밑에서는 그것을 숙주 삼아 사는 기생충을 표현함으로써 사회의 현주소를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또한 상류층은 비가 오는 걸 감상하지만 빈민층은 모든 것을 잃을 수 있다는 것을 대조시키며 끊임없이 빈부의 격차와 자본주의 현실을 나타낸다. 결론적으로 '기생충'은 탁월한 영화 제작과 함께 우리에게 강력한 메시지를 선보이는 필수 영화다.